다운로드 사이트,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동영상을 다운로드하면 가끔 자막이 없는 경우가 있죠. 이럴 때는 자막 파일만 구글에서 검색하면 어렵지 않게 다운로드가 가능하지만, 문제는 동영상 파일명과 자막 파일명이 달라 영상을 재생할 때 자막이 보이지 않게 됩니다. 위 스샷처럼 동영상 파일명과 자막 파일명이 다른 경우 자막이 출력되어 보이지 않게 되는데요, 이럴 때는 자막과 동영상 파일명을 동일하게 맞추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경할 파일이 10개 이상, 20개, 30개가 넘어갈 경우 하나씩 변경하려면 오래 걸립니다. https://pgh268400.tistory.com/189 동영상 자막 이름 맞추기, 일괄변경하기 (E.Z Subtitles V2) 애니메이션, TV쇼에서 자막과 파일이 따로 ..
윈도우 10을 설치하면 기본 절전모드가 활성화되어 일정 시간 자리를 비우면 모니터가 꺼지는데요, 회사나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절전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보안을 위해 좋습니다. 본인만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절전모드는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할 겁니다. 절전모드를 빠져나올 때 마우스나 키보드 키를 누르면 위 스샷처럼 로그인 창이 같이 열립니다. 본인만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매번 로그인을 한다면 이것 만큼 귀찮은 것도 없을 겁니다. 오늘은 윈도우 10 절전모드 해제 시 로그인 화면 뜨지 않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적용하는 방법은 윈도우 시작키를 누르고 설정으로 이동한 다음 "계정"을 누릅니다. 좌측에서 "로그인 옵션"으로 이동한 다음 로그인 필요 부분에 "안 함"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변경..
윈도우 바탕 화면에 있는 아이콘 간격을 조절은 윈도우 7 이전까지는 쉽게 할 수 있었지만, 윈도우 8, 10에서는 창 조절 옵션이 사라져서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별도로 설정을 해야 합니다. 오늘은 윈도우 10 바탕 화면 아이콘 간격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로고키+R을 눌러 실행 창을 띄우고 regedit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열리면 다음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 우측 이름 목록에서 IconSpacing 항목을 더블 클릭하고 편집 창이 열리면 기본 값 데이터 -1125 수치를 변경해서 수평 간격을 조절하면 됩니다. 아이콘 간격을 촘촘하게 하고 싶을 때는 -112..
"msvcrt10.dll 파일이 없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라는 오류가 뜨는 건 주로 포토샵을 설치하고 실행할 때 발생합니다. msvcrt10.dll 파일은 어도비에서 프로그램, 플러그인, 필터 등을 사용하기 위한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 파일로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다는 오류가 뜰 때는 파일이 깨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포토샵을 설치할 때 정식 루트가 아닌 다른 경로를 이용할 때도 오류가 뜨기도 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msvcrt10.dll 파일을 시스템 폴더에 넣어주면 됩니다. 첨부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면 msvcrt10.dll 파일 하나를 볼 수 있습니다. 내컴퓨터 or 내PC ▶ 로컬 디스크(C:) ▶ Windows 폴더로 이동한 다음, 윈도우 운영체제가 64비트면 Sy..
네이버에서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 결과를 보면 블로그가 아닌 카페 글을 볼 때가 있습니다. 작성된 카페 글이 전체 공개로 되어 있다면 바로 클릭해서 내용을 확인하면 되지만, 멤버 공개로 설정한 글을 보려면 카페에 회원 가입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크롬에 확장 프로그램 하나만 설치하면 해당 글을 볼 수 있게 됩니다. https://tinyurl.com/y7khb4cd Naver Cafe Free Pass 네이버 카페의 게시글 읽기 차단을 우회합니다. chrome.google.com 먼저 크롬을 실행한 다음 첨부한 링크를 눌러 "Chrome에 추가"를 눌러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한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을 누르면 자동으로 활성화된 걸 볼 수 있습니다. 안내를 보면 네이버에서 검색 허용한 게..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할 때 "파일 열기-보안 경고" 팝업이 뜨면서 "게시자를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시겠습니까?"를 볼 때가 있죠. 알 수 없는 게시자 팝업이 나타나는 건 실행하는 프로그램 내 서명 정보가 없을 때,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영역에서 다운로드를 하지 않았을 때 검증되지 않았다면 의미로 이런 보안 경고 팝업이 열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부분 윈도우 10을 사용하실 텐데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다면 문제없이 실행되지만, 가끔 실행되지 않을 때가 있는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먼저 윈도우 로고키+R을 눌러 실행 창을 띄우고 gpedit.msc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열리면 다음의 경로로 이동해서 ..